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제학
- 고정효과모형
- 글쓰기
- 통계학
- 데이터 과학
- html
- 추정
- 두 평균의 비교
- 에세이
- 반복없음
- 혼합효과모형
- 티스토리챌린지
- JavaScript
- 인공지능
- 산점도
- css
- 확률
- 이항분포
- 가설검정
- 변동분해
- 이원배치 분산분석
- 변량효과모형
- 오블완
- 분산분석
- r
- version 2
- 반복있음
- version 1
- 회귀분석
- 정규분포
- Today
- Total
목록PPDAC (2)
생각 작업실 The atelier of thinking
11일차 데이터가 많다는 것이 좋기만 한 것일까? 빅데이터를 넘어선 메가 빅데이터 시대에 우리는 데이터가 넘쳐나는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 역시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단순히 데이터의 양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일까? 라는 질문을 해본다. 아마도 무조건은 아닐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적합한 데이터"이냐 아니냐의 문제이다. 내가 알고자 하는 주제에 관련된 필요한 데이터가 충분히 많아야만 그 데이터는 의미가 있다. 만약 주제에 맞지 않는 불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된다면, 이는 공간만 차지하는 데이터 쓰레기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가 많다는 것은 잠재적 장점이 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데이터의 질과 적합성이다. 통계학에서..
Chapter 3. 통계분석 이란? 1. 데이터 문해력과 통계학 데이터 문해력(Data Literacy)한국은 문맹률이 낮기 때문에 글을 읽고 쓸 수 있다는 것이지만,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인 문해력은 상당히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덧붙여서 '데이터 문해력' 이란 말이 나왔습니다.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시대라고합니다. 지금 현재 뉴욕타임즈 같은 경우 보면 굉장히 신문이 두꺼운데, 그 신문 전체에 나오는 양이 18세기 영국 성인 남성이 평생 동안 소비하는 정보의 양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인포데믹이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즉,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는 것입니다.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똑바로 이해나는 능력인 데이터 문해력이 굉장히 중요해진 시대입니다. 실제로 통계분석을 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