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통계학
- 혼합효과모형
- 이원배치 분산분석
- JavaScript
- 분산분석
- 변동분해
- 추정
- 변량효과모형
- 반복있음
- r
- 글쓰기
- 고정효과모형
- version 2
- 에세이
- 반복없음
- 인공지능
- 산점도
- 경제학
- 가설검정
- 회귀분석
- 정규분포
- 이항분포
- css
- 오블완
- version 1
- html
- 확률
- 데이터 과학
- 해운업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0)
생각 작업실 The atelier of thinking
47일차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다변량 자료의 관계 분석 도구 연결된 사회에서의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 숫자로 이루어진 보물섬, 그것이 바로 현대 사회의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라는 보물섬을 탐험하는 데 필요한 지도가 바로 통계학이다. 그 중에서도 여러 변수를 동시에 다루는 다변량 자료의 분석은 이 보물섬의 가장 귀중한 보물이자, 연결된 사회에서 꼭 필요한 존재라 할 수 잇다. 변수 하나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대 사회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성은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따라서 다변량 자료의 분석은 변수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예측을 가능하게 해준다. 다변량 자료의 기술통계는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다. 여러 악기가 함께 어우러져 아..
46일차 인공지능과 친해지기, 그 첫걸음 대화하기 기술의 혁신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PC)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1980년 대였다면, 그 후 10여년 뒤 우리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세상을 만났다. 그리고 또 다른 10년이 지난 후에 스마트폰이라는 모빌리티 세상을 맞이했다. 이제는 더 이상 변화가 없을 것만 같았는데, 흐름이 다시 한 번 바뀌고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인공지능' 이다. 인공지능은 이제 우리 삶의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다. 의료, 금융, 교육,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다. 그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인공지능에 대해 낯설어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나와 같은 나이 많은 문과생들에게는 용어부터 너무 낯설다. 그렇다면, 인..

45일차 수요와 공급: 시장의 균형을 이루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원리 슈퍼마켓에서 달걀 가격이 갑자기 두 배로 오른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많은 소비자들은 구매를 줄이거나 대체품을 찾으려 할 것이고, 생산자들은 더 많은 달걀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시장의 반응처럼 보이지만, 사실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 즉 수요와 공급 법칙이 작동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법칙은 가격 결정의 핵심이며,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다. 시장이란 경제학에서 시장(market)은 상품, 서비스, 자원 또는 금융 자산이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교환되는 장소나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가상 공간을 포함하며, 예를 들..

44일차 해운업: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숨은 동력 해운업은 단순히 물류를 담당하는 산업 이상의 가치를 지닌, 전 세계 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축입니다. 해운업은 각국의 수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해운업의 중요성과 다른 산업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그 역할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에서의 해운업무역의존도는 한 나라의 경제가 무역에 의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무역의존도는 수출액과 수입액의 합계인 무역액을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비율을 계산합니다. 통계청이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서비스인 지표누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2023년도에는 8836%입니다. 2006년 이래로 무역의존도는 70%이상을 보이고 있습..

43일차 분류로 시작하는 통계 분석의 여정 아마도 통계학을 공부하는 사람들 대부분의 목적은 "데이터 분석 잘하기" 일 것이다. 그런 탓인지 나는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 "분석"이란 말이 들어가 통계 기법을 빨리 배우고 싶은 마음이 앞섰다. 무언가 공부를 한다는 것은 건물을 짓는 것과 같다. 건축물을 짓는 데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고 철근을 세우는 것이다. 지반을 제대로 다지지 않으면 건물이 무너지기 쉽고, 철근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건물이 불안정하다. 마찬가지로 통계학 공부에서도 기초공사가 중요하다. 내가 생각하는 통계분석의 기초 중에 하나가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이다. 통계 분석의 시작은 언제나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복잡하게 얽힌 데이터의 혼란 속에서 질서를 찾아내는 첫걸음은 데이터를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