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항분포
- 추정
- 티스토리챌린지
- JavaScript
- css
- html
- 고정효과모형
- 정규분포
- 확률
- 인공지능
- 데이터 과학
- 경제학
- version 2
- 글쓰기
- 변량효과모형
- r
- 통계학
- 이원배치 분산분석
- 산점도
- 회귀분석
- 가설검정
- 혼합효과모형
- 오블완
- 해운업
- 반복없음
- 반복있음
- 분산분석
- 변동분해
- version 1
- 에세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0)
생각 작업실 The atelier of thinking

통계학에서 데이터 과학으로 - 데이터 시대의 새로운 언어 오늘날 인공지능, 빅데이터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이 이끄는 기술적 변화 속에서 "데이터 과학"이라는 단어도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과학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데이터 과학을 알게 된 계기는 통계학을 공부하면서였습니다. 데이터 과학(Data Science)은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과학이라 추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과학은 통계학, 데이터 분석 그리고 기계학습을 포함한 과학적 방법론과 프로그래밍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입니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연구하는 전통적인 학문인 통계학과 데이터 과학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전통적인 통계학 vs 데이터 과학의 통계학 먼저, 위키피디아에서 각각의 정의를..

34일차 평균의 한계 버클리대는 성차별을 했을까? 1970년대에 버클리 대학교는 때아닌 성차별 논란에 빠진 적이 있다. 논란의 발단은 대학원 입학생 중 남학생의 합격률이 여학생의 합격률보다 높게 나오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버클리 대학원 입학 데이터를 보면 남학생들의 합격률은 45%, 여학생들의 합격률은 30% 였다. 이로 인해 성차별 논란이 불거졌다. 이 합격률 차이만 본다면 버클리 대학교에서 남학생을 보다 많이 합격시킨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과별로 나누어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전혀 다른 결론에 도달한다. 아래는 6개 주요 단과 대학의 성별 대학원 입학자료이다. 학과남성여성총지원자합격률총지원자합격률A82562%10882%B56063%2568%C32537%59334%D41733%37535%E19128..
33일차 지금 쓰는 글은 자료 모음입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완성하는 것보다 여러 번에 걸쳐 글을 완성해 보고자 합니다.다음 글은 보다 완성도가 있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떠오른 아이디어 위주로 정리해 봅니다. 을 읽고 리뷰하기 이 책은 내가 지금 하루 한 편 에세이 쓰기를 도전하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나는 이 책을 반복해서 읽으며 의지를 다지고 있다. 그러던 중 "한 번 읽고 평생 써먹는 책값 하는 글쓰기" 라는 글쓰기 특급기술 부분을 읽고서 시도해 보고 싶은 것이 생겼다. 그것은 "책 리뷰하기" 이다. 글쓰기의 기본은 읽기에서 시작한다고 한다. 그 읽기에서 효과적으로 기억하는 방법이 책 리뷰하기라고 한다. 그리고 아래의 8가지 질문에 답하고 그 답을 기초로 잘 엮어 쓰면 리뷰 에세이가 될 수 있다고..
32일차 를 읽고 떠오른 생각 최근 유시민 작가님의 를 읽고 있다. 절반 가량 읽었다. 읽다가 문득 떠오른 아이디어가 있어 혹시나 잊을까 싶어 바로 적고 있다. 먼저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라는 말이 지난 3년간 내가 하고 있었던 일을 한마디로 정리해주는 것 같아 소름이 돋았다. 그리고 문과생이었던 내가 뒤늦게 시작한 코딩 공부의 진도가 빠르지 않았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구나 하는 안도감을 주기도 했다. 내가 코딩 공부를 시작한 것이 2021년 11월 1일이다. 어느덧 만 3년이 지났다. 그 당시 10,000시간의 법칙을 생각하며 코딩 공부를 시작했다. 중간에 포기하지 말자는 각오로 블로그에 기록하는 일도 함께 시작했다. 전혀 모르던 분야에 대한 도전이라 이해도가 떨어졌다. 처음에는 같은 내용의 동영..

돈이 되는 글쓰기, 1년만 해보자! 돈이 되는 글쓰기? 집 근처에 새롭게 구립도서관이 개관한 지 1년이 조금 지났다. 걸어서 10분 정도 거리라 산책 삼아 종종 들러 책을 보기도 했다. 서가를 둘러보며 어떠한 책들이 있는지 보는 일도 도서관을 찾게 되는 하나의 재미였다. 블로그를 만들고 글을 올리기 시작한 것이 2년전이다. 매번 글을 쓸 때마다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글을 좀 쉽게 잘 쓸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도서관에 온 김에 글쓰기 관련 책들을 찾아봤다. . 책 제목이 눈에 확 들어왔다. 부제가 “지금 배워 100살까지 써먹는 일과 삶의 진짜무기” 라니, 매력적인 문구였다. '맞네, 맞아'. '이렇게 해야겠군.', '이거였군' 하면서 하루 만에 책을 다 읽었다. 이 책은 글쓰기를 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