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설검정
- 통계학
- JavaScript
- 이원배치 분산분석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고정효과모형
- 회귀분석
- r
- 반복없음
- 산점도
- 해운업
- 확률
- 변동분해
- 정규분포
- html
- 경제학
- 데이터 과학
- 인공지능
- 혼합효과모형
- 분산분석
- css
- 반복있음
- 이항분포
- 변량효과모형
- version 1
- 글쓰기
- 추정
- 에세이
- version 2
- Today
- Total
생각 작업실 The atelier of thinking
76. 두 그룹간 평균 비교 - 대응표본 본문
Chapter 76. 두 그룹간 평균 비교 - 대응표본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통계적 실험의 설계와 분석 방법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실험은 각각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분석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대응표본은 같은 개체 또는 짝을 이루는 개체로부터 얻은 두 개의 관측치를 사용하여 모집단 간의 차이를 검정하거나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두 개의 관측치는 개체 또는 짝을 이루는 개체로부터 얻어진 것이므로 관측치 간의 연관성이 있습니다. 대응표본은 시간의 차이, 동일한 개체의 전후 측정, 왼쪽과 오른쪽 등의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대응표본은 보통 같은 개체 또는 짝을 이루는 개체들에 대한 전후 차이, 처리 전후 차이 등을 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지난 회차에서는 독립표본, 이번회차는 대응표본일 때의 두 그룹의 평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모집단 가정
(1) 자료의 형태
처리 1 | 처리 2 | 차이 |
X1 | Y1 | D1=X1−Y1 |
X2 | Y2 | D2=X2−Y2 |
: | : | : |
Xn | Yn | Dn=Xn−Yn |
ˉX | ˉY | ˉD=ˉX−ˉY |
대응표본의 비교는 짝비교라고도 합니다. 그렇듯 두 표본이 짝을 이루기 때문에 두 표본의 갯수는 같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때 각각의 표본에 대한 차이를 Di 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μ1 : 처리 1의 평균, μ2 : 처리 2의 평균
모수 : δ=μ1−μ2⟸ˉX−ˉY=ˉD 표본평균의 차
따라서, 대응표본의 두 그룹의 평균의 비교는 차이 Di 의 단일 표본에 대한 모평균의 통계적추론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확률표본
두 표본의 차이 Di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가정합니다.
D1,D2,...,Dn∼iidN(δ,σ2D)
(3) 점 추정량
대응표본의 두 그룹의 모평균 차이가 관심모수가 됩니다.
따라서 점 추정량은 두 표본의 표본평균 차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ˉX−ˉY=ˉD∼N(δ,σ2D/n)
(4) 통계적 성질
두 표본의 표본평균 차이의 기대값과 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E(ˉD)=δ
Var(ˉD)=σ2Dn
(5) 중심축량
ˉX−ˉY=ˉD∼N(δ,σ2D/n)
이를 표준화하면,
ˉD−δσD/√n∼N(0,1)
모표준편차 대시 표본 표준편차를 사용하면,
S2D=1n−1∑(Di−ˉD)2
아래의 중심축량은 T 분포를 따르게 됩니다.
T=ˉD−δSD/√n∼tn−1
2. 구간 추정
구간 추정은 위 중심축량을 기준으로 신뢰구간을 정하게 됩니다.
유도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δ에 대한 100(1−α) 신뢰구간을 나타내면,
1−α=P(−tα/2,n−1<T<tα/2,n−1)
=P(−tα/2,n−1<ˉD−δSD/√n<tα/2,n−1)
위 식에서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ˉD−tα/2,n−1SD/√n,ˉD+tα/2,n−1SD/√n)
3. 가설검정
가설검정의 절차를 살펴보면, 가설을 설정하고 검정통계량을 구하고 구한 검정통계량의 분포와 유의수준을 비교 검토후 기각 또는 채택의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1) 가설 설정
귀무가설(H0) : 현상태에 대한 잠정적 가정
대립가설(H1) : 우리가 알고 싶은 것
H0:δ=δ0vsH1:{δ>δ0δ<δ0δ≠δ0
(2) 검정통계량 : 귀무가설하에서 표본의 비정상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량
T0=ˉD−δ0SD/√n∼tn−1
(3) 검정통계량의 분포와 유의수준을 비교 검토합니다.
유의수준을 α라고 하면 기각역 {①(tα,n−1,∞)②(−∞,−tα,n−1)③(−∞,−tα/2,n−1),(tα/2,n−1,∞)
(4) 결론
기각역(비정상영역) : 귀무가설 기각 (대립가설 채택)
채택역(정상영역) : 귀무가설 유지 (대립가설 기각)
'통계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 두 그룹간 분산 비교 - F 분포 (1) | 2024.06.20 |
---|---|
77. R을 이용한 두 그룹의 평균 비교 (0) | 2024.06.19 |
75. 두 그룹간 평균 비교 - 독립표본 II (1) | 2024.06.17 |
74. 두 그룹간 평균 비교 - 독립표본 I (0) | 2024.06.16 |
73. 두 모집단의 비교 - 독립표본 & 대응표본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