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분산분석
- css
- 오블완
- 변량효과모형
- 티스토리챌린지
- 인공지능
- 이항분포
- 고정효과모형
- 반복있음
- 회귀분석
- 반복없음
- JavaScript
- 통계학
- 에세이
- 정규분포
- 변동분해
- version 2
- 이원배치 분산분석
- 데이터 과학
- 혼합효과모형
- 추정
- 산점도
- r
- 가설검정
- 해운업
- version 1
- 경제학
- 확률
- html
- 글쓰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10)
생각 작업실 The atelier of thinking

1. HTML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텍스트, 이미지, 링크, 목록, 표 등과 같은 요소들을 사용하여 문서를 구성합니다. HTML은 웹 브라우저에서 읽혀져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웹 페이지로 표시됩니다. HTML 문서는 일반적으로 태그(tag)라 불리는 마크업 요소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태그는 각 요소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는 와 로 표현됩니다. Hyper Text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정의하여 문서의 내용과 내용을 연결한 텍스트.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를 가리킨다. ..

코딩을 시작할 때 'HTML'를 추천하는 이유는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인터넷 사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쉽다는 것이 가장 큰 부분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인 웹(Web)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웹(Web) 이란 말은 처음에 익숙하지는 않았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찾아봐" 혹은 "홈페이지에 들어가봐" 라고 말하지 웹사이트를 찾아봐, 웹페이지를 확인해봐 등 웹이란 말은 잘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HTML' 은 이 웹페이지를 만드는 가장 기초적인 언어입니다. 우리가 매일 접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한꺼플 아래 위치해 있습니다. 즉, 우리는 매일 HTML을 접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HTML로 코딩을 시작한다면 쉽게 입문할 수 있을 것입니다...

Chapter 64. 모평균에 대한 통계적 추론 I 통계적 추론은 추론 목적에 따라 크기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계적 추론은 일반적으로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표본으로부터 얻어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특히, 모평균과 모분산은 통계적 추론에서 주로 다루어 지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표본으로부터 얻은 통계량을 사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거나, 신뢰구간을 구하여 추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통계적 추론을 실시합니다. 1. 모평균에 대한 통계적 추론 모평균에 대한 통계적 추론은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통계적 추론은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추정과 가설 검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모평균에 대한..

코딩이라는 세계에 들어서기 시작한 것이 어느덧 2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처음에 코딩이라는 것을 배우고 싶은데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한참을 헤매며 이것 저것 코딩 강의라는 것을 들어봤는데 무슨 외계어를 듣는 듯 이해하기가 너무 버거워 그만둘까 생각도 했었는데, 우연히 한 유튜브 동영상에서 HTML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난 후 시작한 것이 HTML로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는 것이었습니다. 그 후에 HTML로 시작하여 CSS,JavaScript 까지 배워가며 웹페이지를 만들면서 코딩에 재미를 좀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에 서버쪽으로 PHP 도 좀 배워보고, 데이터 베이스 SQL도 뭔지 알아보기도 하고 최근 유행이라는 Python도 열심히 공부중에 있습니다. 지금도 ..

Chapter 63. 가설 검정(Hypothesis Testing) 통계적 추론은 추론 목적에 따라 크게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설검정은 주어진 가설에 대해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가설의 개념과 종류 (1) 가설 검정(Hypothesis Testing)의 개념 가설 검정은 모집단의 모수 또는 분포에 대한 추측이나 주장을 설정하고 이것의 옳고 그름을 표본의 정보를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가설 검정은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테이터로부터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가설 검정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하고,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대립가설을 채택합니다. (2) 가설(Hypothesis)의 종류 가설이란 모수 또는 분포(모집단)에..

Chapter 62. 추정(Estimation) - 구간 추정(Interval Estimation) 통계적 추론은 추론 목적에 따라 크게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추정은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모수를 추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정은 표본의 정보를 활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정은 점추정과 구간추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간 추정은 표본에서 계산한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수가 속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1. 구간 추정(Interval Estimation) 구간추정은 표본에서 계산한 통계량(예: 표본평균)을 이용하여 모수(예: 모평균)가 속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구간추정은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점추정치(..

Chapter 61. 추정(Estimation) - 점 추정(Point Estimation) 통계적 추론은 추론 목적에 따라 크게 추정과 가설검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추정은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모수를 추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정은 표본의 정보를 활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정은 점추정과 구간추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점추정은 하나의 값으로 모수를 추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표본평균이나 표본분산 등이 있습니다. 1. 점 추정 점 추정이란 미지의 모수를 표본의 어떤 함수(통계량, statistic)를 이용하여 어떤 값으로 추정하는 과정입니다. 점 추정은 하나의 값으로 모수를 추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점 추정량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Chapter 60. 통계적 추론의 개요 1. 통계적 추론(추론 통계학) 통계학의 개요에서 아래의 그림으로 통계학을 표현하였습니다. 통계적 추론 혹은 추론 통계학은 표본으로부터 모집단이 무엇인지를 추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통계적 추론을 통하여 얻어진 모집단은 처음 표본을 추출했던 모집단과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계적 추론은 모집단 II를 처음 관심을 가졌던 모집단 I과 거의 같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통계학을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습니다. 통계적 추론(추론 통계학)은 조건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모집단에 대한 가정 여부에 따른 분류 : 모수적 방법 vs 비모수적 방법 (2) 모수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 : 빈도주의(Frequen..

Chapter 59. 카이제곱분포(Chi-square Distribution) - 연속확률분포 1. 카이제곱분포란? k개의 서로 독립적인 표준정규확률변수를 각각 제곱한 다음 합해서 얻어지는 분포입니다. k를 자유도라고 하며 카이제곱분포의 매개변수가 됩니다. 카이제곱분포는 신뢰구간이나 가설검정에서 사용합니다.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제곱이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릅니다. $$ Z^2 \sim \chi^2_1 $$ 서로 독립인 카이제곱분포의 합은 역시 카이제곱분포를 따르며 이 경우 자유도는 합치기 전 각각 확률변수의 자유도의 합과 같습니다. 2.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f(x;k)=\frac{1}{2^{k/2}\varGamma(k/2)}..

Chapter 58. T 분포(T-Distribution) 1. T 분포의 유래 및 원리 T-분포는 student T-분포의 줄임말로 맥주회사 기네스사에 일하던 월리엄 고셋( William Sealy Gosset )이 1908년에 제안하였는데 회사의 방침에 따라 본명을 사용할 수 없었던 고셋이 "student"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제안하였습니다. 그는 작은 표본 크기에 대한 신뢰구간과 가설검정에 관한 분포를 연구하면서 T-분포를 개발했습니다. T-분포는 정규분포와 유사하지만, 표본 크기가 작을 때 발생하는 표본평균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 잘 반영합니다. 특히, T-분포는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를 때, 작은 표본에서 표본평균의 분포를 나타냅니다. T-분포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알지 못할 때, 모집단이 정규분..